개인 인터뷰를 활용한 조직진단 방법
조직진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개인 인터뷰이다.
인터뷰는 직접 대면하거나 전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다양한 이유로 많은 조직개발 전문가들이 선호하는 진단 방식이다.
개인 인터뷰의 장점
개인 인터뷰의 가장 큰 장점은 인터뷰 진행자와 인터뷰 대상자 간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는 점이다.
이 신뢰 덕분에 더 솔직하고 깊이 있는 자료를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문화적 배경에 따라 일부 대상자들은 설문조사보다는 개별 대화에서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인터뷰는 설문조사보다 더 풍부한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인터뷰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은 설문지에 잘 나타나지 않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생각의 배경을 설명해 주어 조직의 문제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준비와 유연성의 장점
인터뷰를 준비하고 계획하는 과정이 중요하긴 하지만, 실제로는 설문조사를 준비하는 것보다 시간이 덜 걸리는 편이다.
게다가 인터뷰는 비공개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설문조사에서 흔히 생길 수 있는 대규모 노출 위험이 적다.
설문조사 준비에서 실수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지만, 인터뷰 준비 과정에서의 작은 실수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습할 수 있다.
익명성의 중요성
인터뷰가 진행될 때, 흔히 인터뷰 대상자에게 “기밀로 처리된다”는 안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실상 인터뷰에서 말하는 것은 기밀성(confidentiality) 보다는 익명성(anonymity) 의 보장이다.
기밀로 한다면 인터뷰에서 얻은 정보는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게 되므로, 진단 과정의 목적 자체를 달성할 수 없다.
실제로 인터뷰의 목적은 수집된 정보를 종합 보고서에 반영하되, 그 정보의 출처는 밝히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뷰 대상자에게는 이름, 직위, 부서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보고서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약속해야 하며, 이러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신분이 드러나는 정보를 아예 수집하지 않거나, 수집하더라도 이후 즉시 폐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인터뷰의 조건
인터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는 쉽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경험과 관찰을 통해 개발된 고도의 인터뷰 스킬이 필요하다.
숙련된 인터뷰 진행자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 자신의 선입관이나 고정관념을 자각하고 이를 배제할 수 있다.
- 편향된 방향으로 이끌거나 유도하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
- 인터뷰 내용을 능숙하게 기록할 수 있다.
- 타자 실력이 뛰어나면, 인터뷰 내용을 거의 그대로 기록하면서도 대상자와 시선을 유지할 수 있다.
- 음성 녹음을 자제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대상자는 음성 녹음을 꺼리며, 녹음은 인터뷰의 긴장도를 높이고, 나중에 녹취록 작성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 인터뷰에서는 시작 질문과 후속 질문을 오픈형과 탐색형 질문으로 준비한다.
- 모든 인터뷰에서 동일한 핵심 질문을 빠뜨리지 않음으로써 표준화를 유지한다.
- 신뢰와 친밀감을 쉽게 형성한다.
- 주의 깊게 듣고 시선을 유지하며,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적절한 몸짓(끄덕임, 미소 등)을 사용한다.
- 인터뷰 대상자의 말을 방해하거나 끊지 않는다.
- 인터뷰 초반에 전체 개요를 설명한 후에는 주장을 펼치기보다는 주로 질문을 통해 대화를 이끈다.
-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을 때 즉시 의미를 다시 묻는다.
- 인터뷰 대상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 있을 때는 명확히 설명해 준다.
- 시간을 잘 관리해 대상자를 재촉하지 않으면서도 인터뷰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인터뷰 스킬의 발전
효과적인 인터뷰를 위해서는 숙련된 전문가의 피드백이나 코칭을 받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스스로 인터뷰 스킬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면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이처럼 개인 인터뷰는 조직진단에서 단순한 정보 수집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대화와 신뢰 형성을 통해 조직의 숨겨진 문제를 발견하고,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듣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잘 설계된 인터뷰는 조직개발의 성공적인 출발점이자, 향후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조직개발 이론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개발에서의 인터벤션 2 (0) | 2025.07.04 |
---|---|
조직개발에서의 인터벤션 (0) | 2025.07.03 |
조직진단 이후 피드백 (0) | 2025.07.03 |
조직진단 방법3 (0) | 2025.07.03 |
조직진단 방법 (0) | 2025.07.03 |
조직진단 효과 (0) | 2025.07.03 |
조직개발 실행 원칙 (0) | 2025.07.03 |
조직개발의 적용과 효과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