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발은 독립적인 분야인가, 타분야의 세부영역인가?
이 질문에는 모호성이 대두된다. 이에 대한 답은 대부분의 조직개발 작업 자체가 그러하듯이, '상황에 따라 다르다.'라는 것이다. 조직개발 전문가를 대표하는 두 단체인 조직개발 네트워크(OD Network)와 조직개발 인스티튜트(OD Institute)는 조직개발은 독립적인 분야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최근에 조직개발 인스터티튜트가 발행하는 저널인 journal of Organization Development 에서는 조직개발을 인적자원개발(HRD)분야와 같이 다루고 있다. 또한, 아래의 많은 전문 조직들 역시 조직개발을 자신들의 세부영역으로 보고 있다.
조직개발의 특징
미국교육훈련협회(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ASTD)의 조직개발 전문가 실무분과에서는 조직개발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정의의 핵심내용을 통합해서 요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조직개발의 실행은
- 반드시 조직과 사업의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 행동과학에 토대를 둔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 중점을 둔다.
- 협력에 기반한다.
- 시스템 지향적이다.
조직개발의 핵심적 특징은 디음과 같다
ㆍ조직개발은 다학제적 특성을 띠고 있으며. 주로 조직행동, 경영, 비즈니스,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교육학. 카운셀링, 교육행정학과 같은 행동과학에 기반한 접근방법을 취한다.
ㆍ주된 목표는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ㆍ변화를 위한 노력의 대상은 조직 자체 뿐 아니라 조직 내의 부서, 업무 그룹, 개인 그리고 지역사회와 국가 혹은 터 보은 영역까지 확장된다.
.조직개발을 하려면 최고경영자의 헌신과 지원,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적절한 조직문화가 형성되기만 하면 조직을 개선하려는 조직 하부로부터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ㆍ조직개발은 변화관리를 위한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전략이다. 이와 동시에 지금과 같은 역동적인 환경 속에서는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주지한다.
ㆍ조직개발의 주안점은 전체적 시스템과 상호 의존하는 구성요소에 있다
ㆍ변화 프로세스에서 그 변화로 영향을 받는 모든 이들의 협력을 요한다.
ㆍ조직개발은 교육에 기반한 프로그램으로 조직의 가치, 태도, 규범, 경영 실무를 개발시키기 위해 설계되었고 그 결과로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건강한 조직풍토가 형성될 수 있다. 조직개발은 인본주의적 가치에 의해 추진된다.
ㆍ조직을 이해하고 진단하기 위해서 데이터에 근거한 접근법을 이용한다.
ㆍ변화추진자(Change agent), 변화추진팀(Change team), 현장관리자(Line management)가 조직개발을 진두지휘하며, 이들은 내용 전문가로서의 역할보다도 퍼실리테이터, 교사, 코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ㆍ변화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조직개발은 조직 프로세스와 구조에 대한 계획된 인터벤션과 개선을 행한다. 또한 개인, 그룹, 조직 전체를 상대로 일할 수 있는 스킬을 필요로 한다. 조직개발은 주로 액션리서치(Action Research, AR)에 의해진행된다.
'조직개발 이론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진단 방법3 (0) | 2025.07.03 |
---|---|
조직진단 방법 2 (0) | 2025.07.03 |
조직진단 방법 (0) | 2025.07.03 |
조직진단 효과 (0) | 2025.07.03 |
조직개발 실행 원칙 (0) | 2025.07.03 |
조직개발의 적용과 효과 (0) | 2025.07.03 |
조직개발의 몇 가지 정의 (1) | 2025.07.03 |
조직의 정의 (1) | 2025.07.03 |